<공익과 인권> 읽기 (재창간 이후)/제20호(2020)10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의 공익법무실습에 대한 소고(小考) / 양동준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의 공익법무실습에 대한 소고(小考) 양 동 준* *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전문석사과정, pacific0110@snu.ac.kr. 2020. 12. 30.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장승화 교수 인터뷰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장승화 교수 인터뷰 2020. 12. 30. 공적 마인드를 갖춘 법률가(Public MindedLawyer) 양성을 위한 로스쿨의 역할/김주영 공적 마인드를 갖춘 법률가(Public Minded Lawyer) 양성을 위한 로스쿨의 역할 김 주 영* ■국문초록■ 공적 마인드를 갖춘 법률가란 협의(狹義)로는 공익인권 분야 종사자 및 정부(법원・검찰), 공공기관(公共機關), 국제기구, 공익기관(NGO 등), 학교 (교수직) 등에 봉직하는 법률가를 의미하고, 광의(廣義)로는 로펌 또는 사기업에 재직하는 경우라도 적극적 및 능동적으로 pro bono나 공익 증진 활동에 참여하는 법률가를 포괄하는 개념이다. 이 중 협의의 공적마인드를 가진 법률가는 ‘공익적 진로에 진출한 법률가’를 의미한다고 할 것이고 따라서 ‘공적 마인드를 가진 법률가의 양성’이라 함은 ‘공익진로(公益進路)의 개발 내지 지도’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. 로스쿨에서 공익진로 개발・지도가 .. 2020. 12. 30. 내가 경험한 공익법무활동 내가 경험한 공익법무활동 김 주 영* *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객원교수, 공익법률센터장, jy537@snu.ac.kr 2020. 12. 30. 이전 1 2 다음